○ 우리는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FTA교섭관, 인도는 산제이 차드하(Sanjay Chadha) 상공부 국장이 수석대표이며, 산업부, 기재부, 농식품부 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참석한다.
□ 양측은 지난 '16.10월 서울에서 1차 개선협상을 개최하고, 상품·원산지·서비스 분야 관련 상호 기본입장을 논의한 바 있으며,
○ 금번 협상에서는 1차 협상 논의를 토대로, 상품 양허 및 품목별 원산지 기준(PSR)개선, 서비스 추가 자유화 관련 시장접근 협상을 본격 진행할 계획이다.
□ 한-인도 CEPA 개선협상은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불확실한 통상환경 하에서, 약 7%대의 높은 성장세*를 보이고 있는 거대 유망시장인 인도에 대한 교역·투자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* (경제 성장률) 2013년 6.6%→2014년 7.2%→2015년 7.6%(출처 : World Bank)
○ 향후 정부는 동 협상이 높은 수준의 상호호혜적 방향으로 가속화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, 우리 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 확대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. "
* 상품·서비스 양허 및 원산지 기준 개선 관련 시장개방 협상 진행
□ 한-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(CEPA*)제2차 개선협상이 '17.2.13(월)~14(화)2일간 뉴델리(인도)에서 개최될 예정이다.
*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
○ 우리는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FTA교섭관, 인도는 산제이 차드하(Sanjay Chadha) 상공부 국장이 수석대표이며, 산업부, 기재부, 농식품부 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참석한다.
□ 양측은 지난 '16.10월 서울에서 1차 개선협상을 개최하고, 상품·원산지·서비스 분야 관련 상호 기본입장을 논의한 바 있으며,
○ 금번 협상에서는 1차 협상 논의를 토대로, 상품 양허 및 품목별 원산지 기준(PSR)개선, 서비스 추가 자유화 관련 시장접근 협상을 본격 진행할 계획이다.
□ 한-인도 CEPA 개선협상은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불확실한 통상환경 하에서, 약 7%대의 높은 성장세*를 보이고 있는 거대 유망시장인 인도에 대한 교역·투자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
* (경제 성장률) 2013년 6.6%→2014년 7.2%→2015년 7.6%(출처 : World Bank)
○ 향후 정부는 동 협상이 높은 수준의 상호호혜적 방향으로 가속화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, 우리 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 확대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. 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