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계 자동차 기능안전 전문가, 제주에 모여
- 자동차 기능안전 워킹그룹(ISO TC22/SC32/WG8) 국제표준화 회의 개최 -
□ '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화 회의(ISO TC22/SC32/WG8)'가 13개국 130여명의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, 2월 6일(월)부터 10일(금)까지 5일간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됨.
* 자동차 기능안전(Automotive Functional Safety, ISO 26262) :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전기/전자 제어시스템의 개발, 시험 및 평가 기술의 총합
○ 4차 산업혁명 총아(寵兒)로 부상하고 있는 자율주행차의 개발·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, 자율주행차 보급·확산을 위해서는 자율주행 기능에 대한 안전이 선행되어야 하고, 이로 인해 기능안전설계를 바탕으로 한 국가·기업간 기술경쟁이 심화되고 국제표준 선점 노력도 치열해지고 있음.
□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는 이번 국제표준화 회의에서는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인 ISO 26262 제2판에 시스템 안전 설계 및 검증 등 최신기술을 반영하기 위한 논의가 있을 예정임.
* 독일(다임러), 미국(지엠), 이탈리아(피아트 크라이슬러), 스웨덴(볼보), 프랑스(르노), 일본(도요타), 한국(현대차) 등 자동차 제조 13개국에서 13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 참석
○ (주요 논의) 시스템,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개발 등 10개 부문 개정과 추가로 제정되는 차량용반도체, 모터사이클 등 2개 부문 총 12개 부문 중 11개(모터사이클은 기완료로 제외) 부문이며, ISO 26262 제2판은 '18년 1월까지 확정될 예정임.
* ISO 26262 제2판은 현재 DIS(Draft International Standard) 단계로 이번회의는 FDIS(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)를 위한 각국 의견논의
○ (국내기업 참여) 이번 표준개정에는 현대자동차, 전자통신연구원, 실리콘웍스, 현대모비스,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국내전문가 50여명이 참가하여 국내 의견을 적극 개진할 예정임.
○ (회의개최 효과) 반도체 설계 등 자동차 기능안전 분야의 기술역량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다소 열세에 있는 상황에서, 이번 회의의 국내 개최는 국내 관련 업계 및 전문가들의 기술·표준 동향 파악 및 해외 전문가와 기술교류 등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며, 동 분야의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한국이 제출한 400여건의 코멘트를 반영하게 될 것임.
□ 국가기술표준원은 '15년 2월부터 자동차 기능안전연구회를 구성·운영하여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 개정에 대응해 왔으며, '18년 ISO 26262 2판 확정에 맞춰, 해당 국제표준이 적용되도록 자동차제조, 반도체 설계, 자동차부품 등 관련 업계와 협의해 나갈 예정임.
○ 국표원 관계자는 '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자율주행 차 등에 대한 기능안전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우리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자율주행 차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'임을 밝힘."
- 자동차 기능안전 워킹그룹(ISO TC22/SC32/WG8) 국제표준화 회의 개최 -
□ '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화 회의(ISO TC22/SC32/WG8)'가 13개국 130여명의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, 2월 6일(월)부터 10일(금)까지 5일간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됨.
* 자동차 기능안전(Automotive Functional Safety, ISO 26262) :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전기/전자 제어시스템의 개발, 시험 및 평가 기술의 총합
○ 4차 산업혁명 총아(寵兒)로 부상하고 있는 자율주행차의 개발·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, 자율주행차 보급·확산을 위해서는 자율주행 기능에 대한 안전이 선행되어야 하고, 이로 인해 기능안전설계를 바탕으로 한 국가·기업간 기술경쟁이 심화되고 국제표준 선점 노력도 치열해지고 있음.
□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는 이번 국제표준화 회의에서는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인 ISO 26262 제2판에 시스템 안전 설계 및 검증 등 최신기술을 반영하기 위한 논의가 있을 예정임.
* 독일(다임러), 미국(지엠), 이탈리아(피아트 크라이슬러), 스웨덴(볼보), 프랑스(르노), 일본(도요타), 한국(현대차) 등 자동차 제조 13개국에서 13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 참석
○ (주요 논의) 시스템,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개발 등 10개 부문 개정과 추가로 제정되는 차량용반도체, 모터사이클 등 2개 부문 총 12개 부문 중 11개(모터사이클은 기완료로 제외) 부문이며, ISO 26262 제2판은 '18년 1월까지 확정될 예정임.
* ISO 26262 제2판은 현재 DIS(Draft International Standard) 단계로 이번회의는 FDIS(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)를 위한 각국 의견논의
○ (국내기업 참여) 이번 표준개정에는 현대자동차, 전자통신연구원, 실리콘웍스, 현대모비스,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국내전문가 50여명이 참가하여 국내 의견을 적극 개진할 예정임.
○ (회의개최 효과) 반도체 설계 등 자동차 기능안전 분야의 기술역량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다소 열세에 있는 상황에서, 이번 회의의 국내 개최는 국내 관련 업계 및 전문가들의 기술·표준 동향 파악 및 해외 전문가와 기술교류 등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며, 동 분야의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한국이 제출한 400여건의 코멘트를 반영하게 될 것임.
□ 국가기술표준원은 '15년 2월부터 자동차 기능안전연구회를 구성·운영하여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 개정에 대응해 왔으며, '18년 ISO 26262 2판 확정에 맞춰, 해당 국제표준이 적용되도록 자동차제조, 반도체 설계, 자동차부품 등 관련 업계와 협의해 나갈 예정임.
○ 국표원 관계자는 '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자율주행 차 등에 대한 기능안전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우리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자율주행 차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'임을 밝힘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