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6년 수출 증가율 1위 품목은 카메라 모듈
- 마스크 팩을 포함한 기타 화장품, 전기용 용접기 등이 수출 급증 -
□ 2016년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 중 수출 증가율 1위 품목은 카메라 모듈('16년 109% 증가)이 차지했고, 기타 화장품(마스크팩 등), 전기용 용접기, 연괴, 백판지, 비행기, 평판디스플레이장비부품, 메이크업, 기초 화장품 등이 2016년 수출 감소에도 불구 40% 이상 급증했다.<
2016년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>
□ '16년 수출은 5.9% 감소했으나, 13대 주력품목외 기타품목 0.7% 증가했다.
○ 2016년 기준 수출이 급증한 호조품목*도 13대 주력품목 10개, 13대 품목외 기타품목 20개로 기타 품목에서 수출 급증 품목이 많았음
* 기준 : '16년 기준 수출증가율 상위 30개 품목('15-'16 연간 수출 1억 달러 이상)
○ 30개 수출 호조품목은 '16년 36.1% 증가율을 기록, 분기별 지속적으로 성장< 13대 주력품목 중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>
□ 2016년 13대 주력 품목은 7.7% 감소로, 컴퓨터(8.5%)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 연간 수출 감소했으나,
○ 주력 품목 중 멀티패키지칩(MCP:반도체), 차세대저장장치(SDD:컴퓨터), 유기발광다이오드(OLED:평판DP) 등 고부가 가치 품목 수출이 증가했고, 카메라 모듈, 기타프린터, 온수보일러, 기타가전 품목이 20% 이상 증가해 수출 감소세가 완화
◇ 주력품목 중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.고사양화
○ (반도체) '16년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체 수출이 1.1% 감소했으나 멀티패키지칩(MCP) 수출은 스마트폰 탑재 용량증가로 33.1% 증가
○ (평판DP) 액정표시장치(LCD) 가격 하락에 따라 15.5% 감소했으나, 유기발광다이오드(OLED)는 스마트폰 OLED 채용과 OLED TV 시장 확대에 따라 2년 연속 20% 이상 증가
◇ 부품.소재 등 수출 품목 다변화, 틈새시장 개척 주력품목
○ (일반기계) 글로벌 투자 부진의 영향으로 2.9% 감소하였으나, 전기용 용접기(91.8% ↑), 온수보일러(26% ↑), 다이아몬드공구(3.1% ↑) 등의 수출이 증가하여 전체 감소세 완화
- 전기용용접기는 연관산업(디스플레이, 전자, 통신)의 수요 증가로 대중(對中)('16년 111% 증가) 및 대(對)아세안(187% 증가)수출 증가
- 다이아몬드공구는 산업용, 건설석재용 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 증가
□ 산업통상자원부는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수출 집중도를 축소하고, 수출 품목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소비재, 에너지 신산업 등 차세대 수출 품목을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.
□ 아울러, 주력 품목 내 경쟁력이 떨어지는 품목을 전기.자율차, 멀티패키지칩(MCP), 차세대저장장치(SSD) 등 차세대 수출 품목으로 점진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신산업 분야 연구개발(R&D)투자, 공기업 수요 발굴 등 지원할 예정이다.
○ 다만, 13대 품목은 기타품목 대비 수출 규모가 커 13대 품목 내 고성장 품목 또한 지속 발굴해야 할 필요"
- 마스크 팩을 포함한 기타 화장품, 전기용 용접기 등이 수출 급증 -
□ 2016년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 중 수출 증가율 1위 품목은 카메라 모듈('16년 109% 증가)이 차지했고, 기타 화장품(마스크팩 등), 전기용 용접기, 연괴, 백판지, 비행기, 평판디스플레이장비부품, 메이크업, 기초 화장품 등이 2016년 수출 감소에도 불구 40% 이상 급증했다.<
2016년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>
□ '16년 수출은 5.9% 감소했으나, 13대 주력품목외 기타품목 0.7% 증가했다.
○ 2016년 기준 수출이 급증한 호조품목*도 13대 주력품목 10개, 13대 품목외 기타품목 20개로 기타 품목에서 수출 급증 품목이 많았음
* 기준 : '16년 기준 수출증가율 상위 30개 품목('15-'16 연간 수출 1억 달러 이상)
○ 30개 수출 호조품목은 '16년 36.1% 증가율을 기록, 분기별 지속적으로 성장< 13대 주력품목 중 수출 호조품목 수출 동향 >
□ 2016년 13대 주력 품목은 7.7% 감소로, 컴퓨터(8.5%)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 연간 수출 감소했으나,
○ 주력 품목 중 멀티패키지칩(MCP:반도체), 차세대저장장치(SDD:컴퓨터), 유기발광다이오드(OLED:평판DP) 등 고부가 가치 품목 수출이 증가했고, 카메라 모듈, 기타프린터, 온수보일러, 기타가전 품목이 20% 이상 증가해 수출 감소세가 완화
◇ 주력품목 중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.고사양화
○ (반도체) '16년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체 수출이 1.1% 감소했으나 멀티패키지칩(MCP) 수출은 스마트폰 탑재 용량증가로 33.1% 증가
○ (평판DP) 액정표시장치(LCD) 가격 하락에 따라 15.5% 감소했으나, 유기발광다이오드(OLED)는 스마트폰 OLED 채용과 OLED TV 시장 확대에 따라 2년 연속 20% 이상 증가
◇ 부품.소재 등 수출 품목 다변화, 틈새시장 개척 주력품목
○ (일반기계) 글로벌 투자 부진의 영향으로 2.9% 감소하였으나, 전기용 용접기(91.8% ↑), 온수보일러(26% ↑), 다이아몬드공구(3.1% ↑) 등의 수출이 증가하여 전체 감소세 완화
- 전기용용접기는 연관산업(디스플레이, 전자, 통신)의 수요 증가로 대중(對中)('16년 111% 증가) 및 대(對)아세안(187% 증가)수출 증가
- 다이아몬드공구는 산업용, 건설석재용 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 증가
□ 산업통상자원부는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수출 집중도를 축소하고, 수출 품목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소비재, 에너지 신산업 등 차세대 수출 품목을 집중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.
□ 아울러, 주력 품목 내 경쟁력이 떨어지는 품목을 전기.자율차, 멀티패키지칩(MCP), 차세대저장장치(SSD) 등 차세대 수출 품목으로 점진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신산업 분야 연구개발(R&D)투자, 공기업 수요 발굴 등 지원할 예정이다.
○ 다만, 13대 품목은 기타품목 대비 수출 규모가 커 13대 품목 내 고성장 품목 또한 지속 발굴해야 할 필요"